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을 마주하는 자세

쓰레기 사진

플라스틱은 합성 물질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고분자 화합물입니다. 가볍고 강하며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는 특성 덕분에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자연 분해되기 어려워 환경 오염 문제를 일으키며 미세 플라스틱 문제, 해양 생태계의 파괴, 해양의 오염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포장재, 가구,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며 이런 다양한 용도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플라스틱 제품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재활용되지 않고 한 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일회용 제품에 많이 사용되며 이런 플라스틱 폐기물은 환경 오염을 일으킵니다.

 

일회용품 자연분해에 필요한 기간

  •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500~1000년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년
  • 폴리에틸렌(PE): 약 50년
  • 폴리스티렌(스티로폼): 50년
  • 우유팩: 5년
  • 나무젓가락: 20년

 

플라스틱을 태우면

  • 공기 오염: 플라스틱을 태울 때 다양한 유해한 화학 물질들이 발생합니다. 다이옥신, 이산화 탄소 등이 포함되며 공기 오염을 일으키고 기후 변화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 건강 위험: 유해한 화학 물질들은 인체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이옥신은 암, 생식 및 발달 장애, 면역 체계 문제 등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 자원의 낭비: 플라스틱을 태우면 그 자원을 재활용하거나 재사용하는 기회가 없어집니다. 플라스틱 제품은 대부분 화석 연료로 만들어지며 이런 방식으로 처리하면 화석 연료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플라스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생물에 대한 영향: 플라스틱 폐기물은 동물이 먹이로 착각하여 섭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화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동물이 영양분을 얻지 못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해양 생태계에서는 이런 문제가 심각한데 많은 수의 바다 새나 수중 생물들이 플라스틱을 섭취하거나 몸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사망합니다.
  • 미세 플라스틱: 플라스틱이 작은 조각으로 부서지면 미세 플라스틱이 되는데 공기, 토양, 해양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먹이 사슬을 통해 생태계에 퍼질 수 있으며 동물들과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건강 위험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비가역적: 플라스틱은 자연환경에서 분해되기까지 수백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이 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스티로폼 먹는 밀웜

2015년에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밀웜들이 폴리스티렌(스티로폼)을 분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밀웜의 소화계는 폴리스티렌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밀웜은 일주일에 자신의 체중의 약 두 배에 해당하는 폴리스티렌을 섭취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밀웜의 배설물은 생물분해성 물질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이 세계의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플라스틱은 여전히 생산량이 너무 많으며 이 방법을 적용하기에는 필요한 밀웜 양이 매우 많습니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는 여러 가지 접근 방식 중 하나일 뿐입니다.

 

저온에서 플라스틱 소화시키는 미생물

스위스 연방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알프스 산맥과 극지방에서 발견한 미생물이 저온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산업 플라스틱 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새로운 도구를 활용 가능하고 그로 인한 환경 파괴를 줄일 수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 미생물들은 보통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들과 달리 보통의 온도에서 대부분의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험에서 이 미생물들이 모든 플라스틱을 분해한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소비자 제품과 포장재에서 흔히 발견되는 폴리에틸렌(PE)은 분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PUR)의 56%는 15도의 저온에서 분해되었고 일부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와 폴리락타이드(PLA)의 생분해 혼합물을 분해하였습니다.

 

마치며

플라스틱을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시도하는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을 생활화하여 플라스틱과 일해용품 생산을 줄이는 게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