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많은 사람들은 “군중 심리”라는 단어를 들으면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립니다. 많은 사람이 모여 있을 때 책임감이 줄어들거나, 이성적인 판단력이 흐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폭동이나 비이성적인 행동은 군중 심리에서 비롯되기도 합니다. 또한, 소문이 빠르게 퍼지면서 혼란을 초래하거나 공포가 확산되기도 합니다.이런 문제점들은 우리가 군중 속에서 자신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지 못할 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군중 심리는 그 자체로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인 힘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군중 심리의 장점공동체 의식과 연대감군중 심리는 사람들에게 소속감을 만듭니다.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할 때, 우리는 강한 연대감을 경험합니다. 스포츠 경기에서 수많은 관중이 함께..
도덕적 해이란, 간단히 말해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 때문에 나쁜 행동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직접 책임지지 않아도 될 때, 그 행동을 신중하게 하지 않거나 책임감 없이 행동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죠. 이러한 문제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도덕적 해이를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예를 들어볼게요. 먼저, 보험의 예를 생각해 봅시다. 사람들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하면 "어차피 사고가 나도 보험이 있으니 비용은 보험 회사가 부담할 거야."라는 생각이 들 수 있어요. 그래서 평소보다 조심하지 않고 운전을 하거나 규칙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요. 이처럼 보험이 주는 안전망 덕분에 운전자가 스스로의 책임감을 덜 느끼게 되어,..
카르마는 산스크리트어로 '행위'나 '업보'을 의미하며 간단히 말해 원인과 결과의 법칙입니다. 즉 사람이 행한 모든 행동은 그에 따른 결과를 낳는다는 것입니다. 카르마는 물리학의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과 비슷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행동은 긍정적인 결과를 부정적인 행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카르마의 개념은 기원전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인도 대륙에서 발전하였습니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여러 인도 종교들이 카르마의 사상을 받아들이고 이를 중심으로 교리를 형성해왔습니다. 힌두교에서는 카르마가 윤회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영혼은 생을 거듭하면서 카르마의 법칙에 따라 그 업에 따른 삶을 살게 됩니다. 좋은 카르마는 더 나은 삶을 나쁜 카르마는 힘든 삶을 가져옵니..
소시오패스(sociopath)는 일반적으로 반사회적인 행동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사이코패스와 달리 소시오패스는 범죄심리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용어로 비전문가들이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공식적인 진단 용어로는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시오패스 특징 소시오패스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공감하지 못하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이용하는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이익을 위해 법을 위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죄책감을 느끼거나 후회를 잘 하지 않습니다. 소시오패스의 이러한 행동은 어린 시절부터 나타나며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됩니..
사이코패스는 정신(psycho)과 결핍(path)가 결합한 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정신질환, 행동이 이상한 사람 혹은 강력 범죄자 등에 잘못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사이코패스의 오해 사이코패스는 원래 반사회성 성격장애로 태어날 때부터 감정을 관장하는 뇌 영역이 발달하지 않은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대중들에게는 사이코패스라는 단어가 냉정하거나 잔인한 행동을 하는 사람 혹은 반사회적이거나 비도덕적인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며 때로는 욕설처럼 사용되기도 합니다. 사이코패스라는 단어는 대중적으로 많은 오해를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살인마나 변태를 사이코패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틀린 분류입니다. 사이코패스는 그들과 별개의 분류로 존재하는 개념입니다. 사이코패스의 행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