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의 지혜가 담긴 따듯한 과학 온돌난방
온돌은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방식으로 난방을 하는 장치입니다. 열의 전도, 복사, 대류 난방 원리를 이용하여 방바닥을 따뜻하게 합니다. 바닥 아래에 깔린 넓은 돌에 열을 축적하여 바닥을 포함한 집안 전체를 따뜻하게 만듭니다. 대중적으로 사용된 온돌은 한국인의 좌식, 맨발 생활, 그리고 단층 주거 건축 양식을 정착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한국 난방의 역사 원시시대에는 움집 가운데 '노'라고 부르는 화덕을 설치하여 난방, 취사, 조명 등을 동시에 해결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이러한 화덕이 분리되어 '노'는 난방을 '부뚜막'은 취사를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철기시대 초기에는 오늘날 온돌의 원형에 가까운 *고래식 구들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경기도 수원시 서둔동 움집터, 평안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