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리즘은 17세기 이후부터 미술 관련 문헌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원래는 예술 양식을 지칭하는 용어로 특정한 기법이나 형식의 반복적 사용으로 독창성이나 신선함을 잃어버리는 예술 작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특정한 예술 현상을 넘어서서 일상에서의 '항상 틀에 박힌 일정한 방식이나 태도를 취하는 일'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일상에서 사용되는 매너리즘
타성은 '오래되어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이나 '변화나 새로움을 꾀하지 않는 나태한 습성'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매너리즘과 타성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매너리즘에 빠지다와 타성에 젖다는 같은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매너리즘 예시
- 과장된 표현: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을 강조하고자 할 때 또는 타인의 주목을 받기 위해 과장된 언어나 행동을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정말로 엄청나게 기뻐!"와 같은 말이나 특정한 상황에서의 과장된 미소 또는 몸짓 등이 있습니다.
- 인위적인 행동: 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감정이나 생각을 숨기려고 할 때 나타납니다. 사회적 압박이나 특정한 기대치 또는 상황에 따라 자신을 다르게 표현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모임에서의 인위적인 웃음이나 사회적 상황에서의 겉으로만 낼 수 있는 친절한 태도 등이 있습니다.
- 반복적인 습관: 일상에서 특정한 행동이나 몸짓을 반복하는 것도 매너리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불안, 편안함 등의 감정 상태에서 자주 나타나는 특정한 행동 예를 들면 머리카락을 꼬아 말거나, 입술을 깨물거나, 손톱을 물어뜯는 것과 같은 습관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루틴의 반복: 매일 아침 같은 알람 시간, 같은 커피, 같은 출근 경로를 선택하는 것도 일상의 매너리즘의 한 예입니다. 이러한 반복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지만 새로운 경험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의사결정에서의 경향: 평소에 선호하는 브랜드나 제품만을 선택하는 것도 매너리즘에 해당됩니다. 새로운 브랜드나 제품을 시도하지 않는 것은 편향된 선택을 만들게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의미에 매너리즘
매너리즘은 대부분의 상황에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지만 매너리즘은 일관된 행동 패턴과 반응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안정감을 주며 이로 인해 상황이나 환경의 변화에도 예측 가능한 반응을 통해 불안감 없이 편안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너리즘에 의존하는 행동은 좋은 습관이 될 수 있어 반복적인 상황에서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러한 일관성은 집단 활동에서 협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너리즘은 이미 검증된 방법이나 접근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