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는 포유강 개과 동물로 늑대의 아종입니다. 개는 대략 2만~4만 년 전쯤 늑대가 인간과 긴밀한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서 천천히 개량되었습니다. 늑대 중에서 사회성이 좋고 온순한 개체들을 선택하여 번식시키면서 특성을 유지 및 개량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늑대는 서서히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데 적합한 개로 변화했습니다. 수천 년에 걸친 인간의 개량으로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수많은 개의 품종이 생겨났습니다. 각각의 품종은 인간의 목적에 맞게 특별한 능력이나 외모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개는 늑대를 기반으로 인간이 개량한 동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늑대와 개의 유사성 하울링: 늑대와 개 모두 하울링이라는 소리를 내며 의사소통합니다. 하울링은 영역 표시, 무리 구성원들과의 의사소통, 경보 등 다양한 목적..
거위는 기러기목 오리과 기러기속 회색기러기종 조류로 야생종인 회색기러기와 개리를 식용으로 개량한 개량종입니다. 거위는 다양한 식재료로 사용되며 깃털과 솜털은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 고급 의류나 침구류에 사용됩니다. 또한 거위는 배타적인 성격에 영역을 지키려는 본능이 있어 낯선 사람과 동물에 경계심이 강하기에 경비용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거위의 원종 회색기러기와 개리 회색기러기 서양 거위의 원종인 회색기러기(Anser anser)는 기러기과에 속하는 조류로 북반구 지역의 습지와 강둑, 농경지 등에서 서식합니다. 회색기러기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회색 계열의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몸길이는 약 74-84cm, 몸무게는 약 3.3-4kg입니다. 회색기러기는 대부분의 기러기 종과 마찬가지로 계절에 따라 이동..
탐지견이란? 탐지견이란 특별한 훈련을 받아 높은 감각 능력을 활용해 물건, 사람, 물질 등 찾아내는 전문적인 사역견을 말합니다. 마약 탐지견, 검역 탐지견, 수색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으로 활약하고 있으며 스프링거 스패니엘, 라브라도 리트리버, 비글, 셰퍼드, 말리노이즈 등 지능이 높고 후각 능력이 뛰어난 견종이 탐지견 역할을 수행합니다. 탐지견 역사 탐지견의 역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개는 군사 작전에서 적을 탐색하거나 보초, 순찰 역할을 수행했으며 19세기 제1차 세계대전 중 영국군이 지뢰탐지를 목적으로 탐지견을 활용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의 정부기관에서 다양한 임무의 탐지견의 양성과 운용이 시작되어 현재는 마약 탐지견, 폭발물 탐지견, 수색견, 의료 ..
시각장애인 안내견이란 시각장애인 안내견의 이동을 돕기 위해 특별히 훈련된 보조견으로 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내견들은 시각장애인에게 길 안내, 장애물 감지, 대중교통 이용 등 다양한 활동에서 도움을 주어 독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합니다. 견종은 보통 라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중에서 선별되며 높은 지능과 온순한 성격, 뛰어난 학습능력으로 인해 안내견으로 적합합니다. 시각장애인 안내견 역사 안내견의 역사는 상당히 깊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최초의 안내견이 언제 등장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고대 로마 시대의 동상이나 벽화에 시각장애인과 함께하는 개를 볼 수 있어 안내견 역사가 꽤 오래됐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시력을 상실한 독일 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