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머 베절릴 헐버트(Homer B. Hulbert)는 한국 역사 속에서 한글을 사랑한 외국인으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그는 처음부터 한글 연구를 위해 한국에 온 것은 아니었습니다. 헐버트가 한국에 온 이유는 선교와 교육 때문이었습니다. 1886년, 그는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로 조선에 파견되었고, 당시 개신교 선교사들이 주도하던 육영공원이라는 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기 위해 조선을 찾았습니다. 한국에 온 이유헐버트가 한국에 도착했을 때, 그는 한국 문화를 깊이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의 문자 체계인 한글에 대해 강한 흥미를 느끼게 됩니다.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한자를 사용했지만, 헐버트는 한글의 단순하면서 과학적 구조에 매료되었습니다. 그는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다"라고 할 정도로 한글..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주인공이 갑자기 다른 세계로 이동하거나 환생하는 이야기는 이세계물의 다양한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이세계물이 처음부터 인기가 있었던 건 아니었어요. 이세계물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해왔을까요? 최초의 이세계물이세계물의 개념은 사실 아주 오래된 이야기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습니다. 1865년에 쓰인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대표적인 이세계물의 시작점 중 하나예요. 주인공 앨리스는 토끼를 따라가다가 이상한 나라라는 낯선 세계로 들어가게 되죠. 이건 현대 이세계물의 기본적인 설정, 즉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이야기를 미리 보여준 작품이라고 할 수 있어요. 또 다른 작품으로 "오즈의 마법사"가 있어요. 이 작품은 1900년에..
갈등 이론(Conflict Theory)은 사회가 갈등(경쟁, 불균형 등)을 통해 발전하고 변화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갈등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각자 다른 이익과 목표를 가지고 있고, 이익이 충돌할 때 갈등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갈등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라는 것이죠. 갈등 이론은 19세기 독일의 사회학자 카를 마르크스(Karl Marx)가 처음 제안했습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급 차이에서 갈등이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노동자(일하는 사람들)와 자본가(회사를 소유한 사람들) 사이의 갈등에 집중했습니다. 노동자들은 더 좋은 임금을 받고 싶어하고, 자본가들은 더 많은 이익을 얻고 싶어하죠. 이렇게 각자가 원하는 것이 다르다 보니 갈등이 생기고, 그 갈등이 결국 사회를 ..
스트라이샌드 효과(Streisand Effect)는 무언가를 감추려고 하거나 숨기려고 할 때, 오히려 그 정보가 더 널리 퍼지게 되는 현상입니다. 스트라이샌드 효과는 2003년 미국의 유명한 가수이자 배우인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사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당시 스트라이샌드는 자신의 집이 찍힌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간 것을 보고, 사진을 삭제하기 위해 법적 조치를 취했습니다. 하지만 소송이 언론에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해당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원래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사진이 오히려 널리 퍼지게 된 것입니다. 스트라이샌드가 사진을 없애려 했던 행동이 반대로 많은 사람들에게 그 사진을 알리게 된 것이죠. 쉽게 설명하면, 누군가 어떤 정보를 숨기려고 할 때, 그 사실이 사람들에게 알려지면 정보에 ..
'악마의 증명'은 무언가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악마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세요"라고 한다면, 악마를 실제로 보여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쉬운 일입니다. 만약 내가 악마를 데리고 와서 보여준다면, 사람들은 “정말 악마가 있구나!”라고 믿을 수밖에 없겠죠. 하지만 “악마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라고 하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왜냐하면, 악마가 정말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증명하려면 이 세상의 모든 장소, 모든 시간대를 다 확인해야만 하기 때문이에요. 어떤 사람이 “저는 악마가 없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어요!”라고 한다면, 그 사람은 모든 장소를 샅샅이 뒤져봐야 합니다. 산, 바다, 하늘, 숲속, 깊은 동굴, 심지어는 사람들이 살지 않는 사막이나 ..
언더도그마는 약자가 도덕적으로 항상 옳고(약자는 선하다), 강자는 항상 나쁘다는 고정관념이나 사고방식을 말합니다. 여기서 Underdog(약자)는 싸움이나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나 집단을 의미하고, Dogma(이념)는 고정된 믿음이나 이념을 뜻합니다. 즉, 언더도그마는 '약자가 언제나 착하고 정의롭다'라는 일종의 고정관념입니다. 그렇다면 언제부터?언더도그마의 개념은 인간 사회의 역사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사고방식입니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약자와 강자의 대립은 반복되어 왔고 약자에 대한 동정이 강하게 자리 잡았습니다. 고대 사회에서는 부족 간의 전쟁이나 국가 간의 충돌이 빈번했습니다. 작은 부족이나 약소국이 강력한 세력에게 침략을 당하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약자의 편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