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소소한 이야기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우리네 소소한 이야기

    • 분류 전체보기
      • 소소한 이야기
      • 동물 · 식물
      • IT · 기술 · 과학
      • 역사 · 지식
  • mode_edit_outline글작성
  • settings환경설정
  • 홈
  • 소소한 이야기
  • 동물·식물
  • IT·기술·과학
  • 역사·지식
반응형
밀러의 법칙과 chunking

밀러의 법칙과 chunking

밀러의 법칙은 1956년 미국의 심리학자 조지 밀러가 제안한 이론으로 인간의 단기 기억에는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밀러의 논문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에서 인간의 단기 기억은 7개 전후를 처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단기 기억은 정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으로 작업 기억이라고도 불리며, 일상생활에서 간단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좌번호를 잠깐 기억하거나 쇼핑할 목록을 기억하는 데 사용됩니다. 단기 기억의 용량은 제한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한 번에 5~9개의 항목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단기 기억의 특성 중 하나는 정보가 빠르게 손실된..

  • format_list_bulleted 소소한 이야기
  • · 2024. 8. 7.
  • textsms
반응형
  • 1
인기 글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소소한 이야기
    • 동물 · 식물
    • IT · 기술 · 과학
    • 역사 · 지식
태그
  • #백신
  • #세균
  • #차이
  • #치료
  • #뇌
  • #행동
  • #에너지
  • #시간
  • #환경
  • #원인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제휴 블로그 Nudgenook, spoonip, godsoy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